전자공학 전문프로그램 교육목표
1. 기초과학과 컴퓨터 지식을 통한 공학 설계 능력을 갖춘 엔지니어 양성
2. 전자공학관련 전문지식과 실험실습 능력을 통한 실무지향적인 엔지니어 양성
3. 사회적 책임 의식과 국제적 협동 능력을 갖춘 엔지니어 양성
공학교육인증이란
공학교육에 대한 국제표준화(Global)작업으로, 21세기 지식 기술 사회에서 요구되는 공학교육의 기반을 확립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1급의 엔지니어를 양성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을 확보하자는 취지이다.
공학교육인증제는 인증된 프로그램으로 공부한 졸업생이 공학실무를 담당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증하는 제도로서, 즉 대학의 공학 및 관련 교육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인증 및 자문을 시행함으로써 공학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실력을 갖춘 공학 기술 인력을 양성하여 산업계에 배출함으로써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ABEEK
미국공학교육인증원 ABET(Accreditional Board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에 상응하는 기관으로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Accreditional Board of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을 의미한다.
1999년 8월 30일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공학기술협회, 교육부, 산업자원부, 전국 공과대학장협의회, 산업체, 공학관련 전문학회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창립되었다.
ABEEK 설립의 기본목적
1. 공학교육 교과내용에 대한 폭넓은 진단 및 평가 프로그램을 설정
2. 공과대학들의 교육프로그램 수립과 개선을 위한 협조
3. 공학 및 공학관련 직업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능력개발을 도움으로써, 공학교육 전반에 걸쳐 내실 있는 발전 도모
4. 지식산업사회에서 주도적인 기여를 할 실력있고 창의력 있는 엔지니어들의 배출
공학교육인증 효과
공학교육인증 평가에 따른 인증효과는 학생, 대학교, 산업체 나아가서는 국가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공학기술의 경쟁력의 향상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학생 | 대학 |
---|---|
-기본소양과 전공기반 실력과 자질을 갖추게 됨 -적성에 맞는 전문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음 -엔지니어 자격시험(기사, 기술사 시험)에서 유리함 -사회 진출 시, 취업이 유리하여 짐 -국제적인 엔지니어가 될 수 있는 입문자격이 있음 |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설립하여 운영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평가 및 검증할 자체평가시스템 구비 -실험실습 및 학술활동 시스템의 확충 -인증받은 대학은 졸업생의 취업 기회가 확대, 우수한 신입생 선발 가능함 |
산업체 | 국가, 사회 |
---|---|
-전문능력과 자질을 갖춘 졸업생을 채용, 경쟁력 강화 -사내 교육기간 감소, 경비 절감 -업무처리 효율 향상 -부서간 업무 협조의 활성화와 대외활동에 유리 | -현실성 있는 교육을 제공 -공과대학 교육이 국제적으로 인정됨 -공학프로그램이 체계화되고 공학교육의 효율성 향상 -국가 교육정책수립에 이바지 -산업체의 경쟁력이 제고, 국가적 경쟁력 향상 |